복소해석학(3)
-
[복소해석학 03]복소수 표현
#복소수 표현 복소수의 나눗셈에 켤레복소수를 쓰면 #절댓값 복소수 에 대하여 을 z의 절댓값이라 하고 |z|는 0부터 x+iy 까지 거리이다. 복소수 z,w는 크기 비교가 안 되지만 절댓값 |z| ,|w| 는 비교 가능하다. |z-w| 는 두 복소수 z,w 사이의 거리 # 정리-절댓값 그 후 라고 하자 이때 이므로 세 번째 항인 이다. 7번 정리 증명완료.
2021.12.22 -
[복소해석학 02] 복소수 대수적 성질
#복소수 대수적 성질 #항등원 #역원 #복소수의 덧셈 곱셉은 실수에 정의된 덧셈 곱셈처럼 여러 성질을 만족시킨다. #복소수와 실수와 다른점은 (1) 크고 작고를 비교 할 수 없음. (2) 양수, 음수, 개념 x (3) 항상 제곱근이 존재함.
2021.12.22 -
[복소해석학 01] 실수와 허수 그리고 복소수
물리학을 배움으로써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수학인 복소 해석학이다. 수학과에서 나름 열심히 공부해보면서 오개념을 많이 잡을 수 있었다. 대학원 수준인 잭슨 전자기학에서는 복소해석 내용은 기본으로 알아하니 혹시 보게 된다면 한번쯤 공부해보길 바란다. 고등학교에서 배운 수학보다는 조금은 더욱 알고리즘적인 생각을 해야한다. 어떤 문제를 풀 땐 정의에 틀린게 있는지 다시 한번 살펴보는 습관이 중요하다. 복소해석을 시작하기 앞서 실수가 가지는 몇가지 특징으로 이야기를 해보자. # 실수 (real number) # 허수의 성질 # 복소수의 기하학적 성질
2021.12.22